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조건 총정리|신청기간·이율·정부기여금·해지까지 (2025 최신 가이드)

by 스낵냥 2025. 9. 8.

 

 

청년도약계좌, 2025년 신규 종료 → 2026 ‘청년미래적금’ 전환: 조건·혜택 총정리최신

업데이트: 2025-09-08 (KST) 

핵심 요약
  • 청년도약계좌2025년 말 신규가입 종료 전망. 기존 가입자는 약정기간(최대 5년) 동안 혜택 유지.
  • 청년미래적금2026년부터 신설되어 청년 자산형성 정책이 전환될 예정(정부안 기준, 국회 의결 및 고시 후 확정).
  • 미래적금(안): 만 19~34세,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또는 소상공인 연매출 3억 이하), 월 50만 원 납입, 3년 만기, 정부 매칭 일반형 6% / 우대형 12% 설계안.

무엇이 확정이고, 무엇이 진행 중인가

확정/공식 발표

  • 2026 예산안에 청년미래적금 신설 포함(정부안 발표).
  • 세법개정안에 청년도약계좌 비과세 일몰(’25년 말) 명시 → 신규 유인 종료.

전망/설계(안)

  • 도약계좌 신규는 ’25년까지만, ’26년 중단/폐지 전망.
  • 미래적금 매칭율·우대요건·중복가입/갈아타기 규정은 예산 확정 뒤 고시로 구체화.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요지 비교)

구분 청년도약계좌(기존) 청년미래적금(신규·정부안)
만기 5년 3년
월 납입 최대 70만 원 최대 50만 원
정부 지원 정부 기여금 + 비과세(’25년 말 일몰) 정부 매칭 일반형 6% / 우대형 12% (설계안)
대상 만 19~34세 등 소득 요건 만 19~34세,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소상공인 연매출 3억 이하 포함)
상태 ’25년 말 신규 종료 전망, 기존자 유지 ’26년 신설 예정(정부안)

기존 가입자 영향

  • 약정기간 혜택 유지: 기존 도약계좌는 약정대로 정부 기여금/비과세(적용 범위 내) 혜택 유지.
  • 중도해지·부분인출: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혜택 보전하는 완화 규정이 적용(세부 고시 참조).

청년미래적금(안) 디테일

  • 대상/한도: 만 19~34세,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또는 소상공인 연매출 3억 이하), 월 50만 원, 3년 만기.
  • 정부 매칭: 일반형 6%, 우대형 12%(예: 중소기업 신규취업 등) — 3년 총자산 약 2,200만 원 수준 가능성(변동 가능).
  • 세부 규정: 금리·우대요건·중복가입/갈아타기 등은 예산 확정 후 관계부처 고시로 확정.
 

행운의 문 (Luck Gate): 내 상황별 선택 가이드

문 A|도약계좌 유지

이미 가입했고 3년 이상 유지 가능, 중도해지 가능성 낮음

  • 장점: 비과세 + 정부기여금, 제도 안정성.
  • 체크: 유지심사/부분인출 규정, 3년 경과 시점 관리.

문 B|미래적금 신규(’26)

미가입자이거나 3년 만기 선호, 우대형 해당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장점: 높은 매칭율(우대형 12%) 기대.
  • 체크: 중복가입/갈아타기 규정 및 신청 창구(고시 후) 확인.

실무 체크리스트

  1. ’25년 말까지 도약계좌 신규 고려자: 비과세 일몰 전 은행 앱/영업점에서 신청 가능 여부 점검.
  2. 기존 도약계좌 보유자: 유지심사·부분인출 규정 확인, 3년 경과 시점 캘린더 관리.
  3. 미래적금 대기자(’26): 연 소득·우대요건 사전 점검, 예산·고시 확정 이후 신청 일정 체크.
 

자주 묻는 질문(FAQ)

도약계좌 신규가입, 정말 올해(’25)가 마지막인가요?
세법개정안에 비과세 일몰(’25년 말)이 명시되어 있고, ’26년 예산안에 미래적금 신설이 포함되어 제도 전환이 예고되었습니다. 최종 확정은 국회 의결 및 부처 고시 이후입니다.
기존 도약계좌는 계속 유지되나요?
네. 보도 및 공지 기준으로 기존 가입자는 약정기간 동안 정부 지원·비과세 혜택이 유지됩니다(세부는 고시 확인 권장).
미래적금으로 갈아타기·중복가입이 가능한가요?
중복가입 불가 및 갈아타기 검토 보도가 있었으나, 최종 규정은 예산 확정 이후 고시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참고·출처(요약)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2026회계연도 예산안(청년미래적금 신설).
  • 기획재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청년도약계좌 비과세 일몰 명시), 2026년 예산안/국가재정운용계획.
  • 주요 경제지: 청년도약계좌 신규 종료(’25), 청년미래적금 설계(3년·월 50만·매칭 6%/12%) 보도.

※ 본 글은 정부안·세법개정안·언론 보도 기준으로 정리한 안내입니다. 국회 최종의결 및 부처 고시 이후 세부 요건이 조정될 수 있으니 신청 전 공식 공고를 반드시 확인하세요.